"엄마, 그냥 기분이 나빴어." "슬픈 건 아니고... 음, 이상했어." 이처럼 아이가 감정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뭉뚱그려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하나입니다. 아이가 감정 어휘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감정 어휘력은 아이가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감정을 타인에게 전달하며, 상황을 조절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심리 언어 능력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의 감정 어휘를 자연스럽게 확장해줄 수 있는 부모의 일상 대화 습관 5가지를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합니다.
감정을 ‘색깔’이나 ‘날씨’처럼 비유로 표현해보기
감정을 바로 단어로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아이에게는 구체적인 감정 단어를 알려주기보다 비유적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실전 대화 예시:
- ✔️ “지금 마음이 무슨 색 같아? 까맣게 느껴져? 아니면 회색?”
- ✔️ “기분이 흐린 날씨 같아? 아니면 바람이 세게 부는 날 같아?”
- ✔️ “오늘은 마음에 어떤 모양이 생겼을까?”
이런 질문은 아이의 감정 상태를 시각적으로 떠올리게 하며, 추상적인 감정을 언어로 연결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합니다.
부모가 감정을 직접 설명하는 말습관 만들기
아이의 감정 언어는 부모의 언어를 따라 배웁니다. 부모가 “좋아”, “싫어”만 반복하는 대신, 다양한 감정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 활용 예:
- ✔️ “오늘은 일이 많아서 좀 번잡하고 부담스러웠어.”
- ✔️ “친구랑 이야기하다가 오해가 생겨서 서운했어.”
- ✔️ “기대했는데 일이 달라져서 아쉬웠어.”
이처럼 부모가 감정을 구체적 단어로 표현하면 아이는 그 감정이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를 자연스럽게 익히게 됩니다.
‘감정 사전’ 놀이를 함께 해보기
아이와 함께 감정 단어를 정리해보는 놀이를 일상화하면, 자연스럽게 어휘력이 자라나고, 자신이 느낀 감정을 명확히 표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놀이 예시:
- ✔️ “기쁨과 비슷한 말엔 뭐가 있을까? 신남, 들뜸, 만족감…”
- ✔️ “화가 났을 땐 어떤 단어가 어울릴까? 짜증, 분노, 억울함…”
- ✔️ “감정 단어 카드 중에 오늘 기분과 제일 비슷한 단어는?”
이런 방식은 아이에게 감정 어휘를 분류하고 확장하는 능력을 길러주며, 문해력과 자기표현 능력까지 함께 향상시킵니다.
애니메이션이나 책 속 인물 감정 함께 말해보기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보다는 타인의 감정을 관찰하고 추측하는 활동을 통해 감정 단어를 익히기도 합니다.
실천 예시:
- ✔️ “이 장면에서 주인공은 어떤 감정일까?”
- ✔️ “왜 그런 표정을 지었을까? 슬펐던 걸까, 실망했을까?”
- ✔️ “만약 네가 이 친구였다면 어떤 기분이 들었을까?”
이런 대화는 아이가 감정 어휘를 상황에 연결지어 배우는 데 도움이 되며, 공감 능력 향상에도 효과적입니다.
감정 질문 루틴 만들기: 하루 1감정 묻고 말하기
매일 저녁이나 잠자기 전, 하루 동안 느낀 감정을 돌아보는 루틴을 만들면 아이는 점차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감정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됩니다.
질문 예시:
- ✔️ “오늘 가장 기뻤던 순간은 언제였어?”
- ✔️ “가장 당황스러웠던 일은 뭐였어?”
- ✔️ “오늘 하루를 감정 하나로 표현하면 어떤 단어가 어울릴까?”
이처럼 매일 반복되는 질문은 감정 언어를 훈련하는 기회가 되고, 부모와의 친밀한 정서 교류 시간도 자연스럽게 만들어줍니다.
📌 마무리하며
감정 어휘력은 단지 단어 개수의 문제가 아닙니다. 자기이해 + 자기표현 + 관계 소통의 핵심입니다.
오늘부터 아이와 함께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세요. 다양한 단어로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힘이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고 타인을 이해하는 힘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감정 어휘력이 자란 아이는, 감정도 스스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부모의 말 습관 5가지 (2) | 2025.08.03 |
---|---|
아이의 문제 해결력을 키워주는 부모의 질문법 5가지 (1) | 2025.08.02 |
아이의 자신감을 키워주는 부모의 대화법 5가지 (1) | 2025.07.31 |
아이의 짜증과 화를 다스리는 부모의 대화법 5가지 (2) | 2025.07.30 |
아이의 불안감을 줄이는 부모의 대화법 5가지 (1) | 2025.07.29 |